[파이낸셜 와이드=천유빈 대학생 기자]
2025년 1분기, 한국 경제가 전 분기 대비 0.2% 감소하며 예상 밖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이는 2024년 2분기 이후 처음 있는 역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로도 0.1% 줄어든 수치다. 통상 연초에는 재정 조기 집행 효과나 수출 회복세 등으로 플러스 성장을 기대하지만, 이번에는 내수 부진과 대외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전체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이번 GDP 감소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수출 둔화다. 특히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직접적인 타격을 입혔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 이후 한국산 철강, 반도체, 자동차 등 주요 수출품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대미 수출은 전 분기 대비 14.3% 급감했다. 이는 전체 수출 감소율(1.1%)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미국 외에도 중국과의 무역 둔화, 중동 정세 불안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변동성 등도 수출 기업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수출 감소는 제조업 전반에 타격을 주며 설비 투자마저 위축시켰다. 실제로 1분기 설비 투자는 전기 대비 2.1% 줄어들었다.
국내 소비 역시 힘을 받지 못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사태와 계엄령 시도 관련 정치적 불안정은 국민들의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불확실한 정국 상황은 가계의 경제 활동 전반에 영향을 주며, 민간 소비는 거의 정체 상태를 보였다.
정부 소비도 기대만큼 늘어나지 못했다. 연초 재정 조기 집행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책의 체감도와 실행력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건설 투자 역시 3.2% 감소하며 부동산 경기 침체의 신호를 다시금 확인시켜 주었다.
이번 수치는 한국 경제가 단기적인 회복 흐름에 제동이 걸렸음을 보여주는 신호다. 특히 국내외 불확실성이 동시에 작용할 경우, 전통적인 재정 정책만으로는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경기 회복을 위해선 정치적 안정을 기반으로 소비 심리를 회복하고, 대외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방향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정부는 2분기 중 추경 논의와 함께 수출 기업 지원책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실질적인 효과를 보기 위해선 대미 무역 협상, 금리 정책, 에너지 가격 대응 등 다방면의 종합 대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