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 와이드=김현경 대학생 기자]
시중은행들의 예대금리차가 8개월째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일부 은행의 경우 2022년 하반기 공시가 시작된 이후 최고 수준의 격차를 보이고 있어 소비자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예대금리차란 은행이 대출로 벌어들이는 금리에서 예금에 지급하는 금리를 뺀 것으로, 금리 간 격차를 의미한다. 이 수치가 클수록 은행이 얻는 마진, 즉 수익이 많다는 뜻이다. 최근 금리 인하 기조 속에서도 예금금리는 내려가는 반면 금리 하락기 대출금리는 쉽게 떨어지지 않으며 이 격차가 갈수록 커지는 추세를 보인다.
지난 5일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KB 국민, NH농협, 신한, 하나, 우리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예대금리차는 1.38~1.55% 포인트로 집계됐다. 농협은행이 1.55% 포인트로 가장 높았고, 1.51% 포인트인 신한은행, 1.49% 포인트 국민은행, 1.43% 포인트 하나은행, 1.38% 포인트인 우리은행이 그 뒤를 이었다. 전반적으로 지난해에 비교했을 때 연속으로 예대금리차가 확대되는 추세로, 5대 시중은행뿐만 아니라 모든 은행이 예대금리차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전국 19개 은행 중에서는 전북은행이 7.17% 포인트로 가장 높은 예대금리차를 기록했다. 이어 한국씨티은행(2.71% 포인트), 제주은행(2.65% 포인트), 토스 뱅크(2.46% 포인트), 광주은행(2.34% 포인트) 등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일부 은행은 예대금리차 공시가 시작된 이후 최대 수치를 기록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의 3월 수치는 공시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래 가장 높았으며, 국민은행과 우리은행 역시 각각 2년 2개월, 2년 1개월 만에 최대치에 도달했다. 농협은행도 1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예대금리차가 확대된 배경으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급증한 수도권 주택담보대출과 이에 따른 금융당국의 대출 수요 억제가 지목된다. 당시 은행들은 가산금리를 인상을 통해 대출금리를 여러 차례 끌어올렸지만 아직 이를 충분히 낮추지 않았기에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재지정하는 등의 영향으로 인해 가계 대출이 증가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예대금리차가 단기간 안에 줄어들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달 말 기준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총 743조로 집계됐다. 이는 전달인 3월 말보다 5조 이상이 늘어난 것으로 지난해 9월(5조 6029억 원) 이후 최대 증가 폭을 기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