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Megaport Surpasses 1,000 Enabled Locations Worldwide
  • 편집국
  • 등록 2025-08-17 20:03:31

기사수정
  • Megaport now provides access from 10% of all data centres worldwide, making it the world’s leading Network as a Service provider.

With over 1,000 enabled locations, Megaport now provides access from 10% of all data centres worldwide.

Megaport Limited (ASX: MP1) (“Megaport”), the global leading Network as a Service (NaaS) provider, announced today that it has launched its 1,000th Megaport-enabled location. With this milestone, Megaport now provides access from 10% of all public data centres worldwide, making it the world’s leading vendor-neutral NaaS connectivity platform.

From its start as a disruptor in the connectivity space, Megaport has now become the go-to solution for IT teams needing fast, flexible, and secure interconnection between cloud services, data centres, and enterprise sites. The Company’s global reach now spans over 160 cities across 26 countries, enabling direct connections to all major cloud providers and hundreds of service providers.

“Hitting 1,000 locations is a huge moment for us, but even more so for our customers,” said Michael Reid, CEO of Megaport. “This isn’t just about being everywhere - it’s about giving businesses the power to connect anything, anywhere, with more flexibility than they’ve ever had before.”

DataBank, a long-time Megaport partner, hosted the launch of Megaport’s 1,000th enabled location at its SAN1 facility at San Diego. DataBank provides market-leading edge infrastructure that perfectly complements Megaport’s network fabric.

“Megaport’s presence in our data centre facilities adds significant value for our customers who need low-latency, high-availability access to cloud and network services,” said Raul Martynek, CEO of DataBank. “This milestone is a testament to the way Megaport is reshaping connectivity, and we’re proud to play a major part in it.”

As global demand continues to surge for secure and agile cloud connectivity, Megaport will continue to bring enterprise-grade interconnection to more locations, businesses, and clouds around the world.

About Megaport

Megaport is changing how businesses connect their infrastructure, with one smart and simple platform to manage every connection. Build secure, scalable, and agile networks in just a few clicks, accessing global endpoints and creating private paths in minutes. Trusted by the world’s leading companies, Megaport partners with global service providers, DC operators, systems integrators, and managed services companies, and operates in 1000+ enabled locations worldwide. Megaport is ISO/IEC 27001 certified. Join the network revolution at megaport.com.

View source version on businesswire.com: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807394677/en/

언론연락처: Megaport Limited Adam Hennessy Head of Marketing Brand & Communications +61 7 3088 740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디엔지니어, AI로 3D 디자인 문턱 낮춘 'X concep AI' 공개 산업 자동화 전문 기업 디엔지니어는 현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술 개발을 지속해온 가운데, 텍스트 기반 3D 디자인 AI 솔루션 ‘X concep AI’를 새롭게 공개했다. 이 솔루션은 일반 사용자와 전문가 간의 3D 디자인 소통 문제를 완화하고 초기 설계 단계를 단축하는 데 기여함으로써, 복잡했던 디자인 진입 장벽을 낮추는 것을 목표..
  2. 외국 운전면허증을 한국 운전면허증으로 교환하기 대한민국에서 ‘자동차등’을 운전하려는 사람은 시ㆍ도 경찰청장으로부터 운전면허를 받아야 한다. ‘자동차등’이란 자동차와 원동기장치 자전거를 말한다. 다만, 운전면허를 받음에 있어 연령제한이 있다. 18세 미만(원동기장치 자전거의 경우에는 16세 미만)인 사람은 운전면허를 받을 수 없다.
  3. 신경다양성 캐릭터, 루키가 되다 신경다양성을 주제로 한 콘텐츠 브랜드 ‘컬러풀브레인친구’가 ‘캐릭터 라이선싱 페어 2025’ 루키프로젝트에 선정되며, 창의성과 사회적 메시지를 동시에 인정받았다.‘캐릭터 라이선싱 페어 2025’ 루키프로젝트는 한국콘텐츠진흥원과 코엑스가 공동 주관하는 유망 캐릭터 발굴 프로그램으로, ‘컬러풀브레인친구&...
  4. 컬러풀브레인친구, 저작권위 해외저작권 우수기업 선정 신경다양성 콘텐츠 브랜드 ‘컬러풀브레인친구’가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 주관하는 ‘2025 K-콘텐츠 해외저작권 등록·출원 지원사업’의 우수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이번 사업에서 컬러풀브레인친구는 확장형 지원기업으로 먼저 선정된 데 이어, 이후 평가를 통해 우수기업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해당 사업은 국내 콘텐..
  5. 한국씨티은행, 유로머니 선정 ‘대기업 고객 대상 최우수 은행’ 등 주요 부문 석권 한국씨티은행(은행장 유명순, www.citibank.co.kr)과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대표 박장호)은 유로머니(Euromoney)가 주관하는 ‘2025 유로머니 어워즈’에서 주요 부문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한국씨티는 이번 수상을 통해 기업 고객의 신뢰를 바탕으로, 투자은행부터 기업 금융 전반에 이르기까지 전방위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뱅킹 파트..
서울안심소득
재택치료_상담_진료방법안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