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 파이오니어 스쿨 2025’ 성과공유회
현장청년 창작자들이 지역을 기반으로 취·창업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로컬 파이오니어 스쿨 2025(이하 로파스)’가 첫 번째 교육 과정을 마무리하고 지난 6일 로컬 크리에이터 라운지 연남장(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에서 ‘로컬 비즈니스 클래스’ 성과공유회를 열었다. 6월 말부터 한 달간 온라인으로 진행된 ‘로컬 비즈니스 클래스’를 통해 사업 기획서를 제출한 200여 명 중 10명이 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발표하고 소통하는 시간이었다. 이는 지역 창작자들이 실질적인 경험을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로 평가된다.
본 프로그램은 고용노동부와 대한상공회의소가 주관하는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ESG 지원형)’의 핵심 프로그램이다. 어반플레이와 CJ올리브네트웍스, 오픈놀이 운영을 맡아 로컬, 디지털, IR 등 각 사의 전문성을 살린 실무형 일경험을 제공하는 교육과정으로 명성이 높다. 2023년 첫 시작 이후 매년 참가자 수를 늘려 올해는 300명을 선발한 것은 프로그램의 인기를 반영하는 결과로, 앞으로도 더욱 많은 청년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6일 열린 ‘로컬 비즈니스 클래스’ 성과공유회에서는 먼저, IR 피칭 전문가 최현정 비드리머 대표 등 각 분야 전문가들과 창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그룹멘토링’, 어반플레이 이용원 박사의 ‘로컬 브랜딩 미니강연’, 연희동의 상징과 같은 특색 있는 브랜드를 탐색하는 ‘로컬 인사이트 트립 in 연희’가 진행됐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참가자들이 실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네트워킹을 통해 다양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어 우수 참가자 10인이 로컬 비즈니스 클래스 기간 동안 완성한 사업 기획서를 발표하는 ‘피칭 행사’에서는 지역성과 성장 가능성을 고루 갖춰 심사위원들의 주목을 받은 정건호 씨가 최우수를 차지했다. 정건호 씨는 충남 계룡시 두마면 팥거리 지역 국산 팥을 활용한 디저트, 음료 등을 선보이는 팥 전문 카페 창업 아이디어로 이목을 모았다. 이어 정희경 씨는 반려동물 문진을 통한 한방 주문제작식 사료, 김유민 씨는 로컬 기반 커스터마이징 아트토이 플랫폼 아이디어로 우수자에 선정되었다. 이들의 발표는 지역 특색을 살린 창의적인 접근이 돋보였으며, 향후 실제 창업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게 평가된다.
로파스 2025는 이번 ‘로컬 비즈니스 클래스’를 성실히 수료하고, 로컬 특화성·아이디어 구체성·성장 가능성이 높은 사업 기획안을 작성한 60명을 대상으로 20~22일 인천에서 ‘커리어 캠프’를 진행한다. 먼저 △폐공장 등 노후 공간을 카페, 음식점으로 탈바꿈한 현장을 살펴보는 ‘에어리어 매니지먼트’ △40년 된 재즈클럽 등 독보적인 특색을 가진 브랜드를 들여다보는 ‘재미주의자의 로컬 창업’ △한국 최초 서양식 호텔인 ‘대불호텔’ 등 역사적 공간을 방문하는 ‘역사 덕후의 로컬 여행’ 등 3개 테마의 필드트립을 준비했다. 이러한 현장 학습은 참가자들에게 지역의 특성과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어 개인의 목표를 구체화하는 취·창업 미니워크숍과 진로공유회 등도 열릴 예정이다.
커리어 캠프 과정에서 우수 참가자로 선발된 40명에게는 액션 트랙인 ‘현장 일경험’과 ‘창업 부스팅’ 프로그램 참여 혜택이 주어진다. ‘현장 일경험’은 유명 로컬브랜드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비롯해 기업 관계자 네트워킹, 국내·외 로컬 인사이트 트립 등을 체험할 수 있으며, ‘창업 부스팅’은 200만원 상당의 시제품 고도화 바우처, BI 및 CI 제작 등 아이디어를 구현에 필요한 실질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지원은 청년 창작자들이 실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로컬 파이오니어 스쿨은 청년 창작자들이 지역 기반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를 기획하며 그 경험으로 나만의 브랜드를 완성하는 로컬 파이오니어 스쿨의 첫 과정이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남은 교육과정 동안 청년 창작자들이 밀도 높은 현장 경험을 통해 로컬 파이오니어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청년 창작자들의 창의적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